포스트-인더스트리얼 사이트란 근대산업을 이끌었던 산업구조물들이 더 이상 기능을 하지 않자 버려진 공장이나 창고 등을 말한다. 염색공단은 한때 대구 경제를 이끌었던 산업단지였으나 현재 공단의 수주가 줄어들면서 폐업한 업체가 늘어나고 있어 처리장의 운영 및 처리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이에 두 개의 폐수처리장을 통합 운영을 검토하고 있다.이렇게 되면 1처리장은 유휴지역으로 남게 되고 버려진 산업공간을 공원화하기 위한 설계안을 응모합니다.
먼저, 디자인모티브는 섬유염색공업과 전통한복 원단인 비단과의 연결고리인 전통문양을 설계에 적용하였다. 설계목표는 첫째, 전통무늬의 표현, 둘째, 폐수처리장과 전통정원의 공통점인 물의 이용. 셋째, 산업시설물과 전통정원의 자연스러운 어울림이 잘 표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원형의 침전지는 전통문양을 표현한 4개의 화단으로 재탄생하였고, 그 중 한 개의 원형침전지는 선큰가든으로써 위요된 공간을 조성하여 안정된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방형집수조는 공원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어 정자를 배치해 정원전체를 조망하는 전망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원래 물이 채워져 있던 방형집수조는 연꽃과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연못과 수질정화의 기능을 동시에 포함하고 있다. 가장 높은 곳의 정자와 가장 낮은곳에 위치한 전통무늬패턴의 원형침전지는 자연지형을 그대로 받아들인 전통조경기법을 재현하여 공간의 위계를 잘 보여주는 디자인의 핵심공간이다. 또한 염색탱크는 안내시설물이나 관리동으로 이용할 정도로 규모가 있어 리모델링만 하여 공간을 재활용하며 외부에는 능소화를 식재하여 삭막한 공업시설물을 화사하게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렇듯 기존의 산업시설의 재생은 이용자들에게 산업공간의 독특한 미적체험을 제공하여 호기심을 유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정원에서 느낄 수 있는 자연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는 휴식과 치유의 공간을 제공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