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전통조경대전
home
기획의도
home

수상작 아카이브

제1회 대한민국 전통조경대전 전통조경대전 - <디지털 설계 부문> 수상작

대상 - ‘서울의 후원’

○ 소 속 :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조경학과
○ 출품자 : 임상우
○ 대상지 : 삼청공원
○ 작품요약 : ‘서울의 후원’은 조선시대 후원 문화와 서예의 미감을 바탕으로 삼청공원을 재해석한 설계안이다. 전통 원림의 구성 원리와 곡선적 공간 구조를 기반으로 9개의 경관 요소(삼청9경)를 설계하고, 수공간·식재·재료계획 등을 통해 전통과 현대를 잇는 감각적이고 철학적인 공간을 제안하였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서울의 후원
355904.8KB

금상 - ‘옥상별서, 화계산수’

○ 소 속 :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출품자 : 임한솔, 장혁준
○ 대상지 : 가상 별서 공간(현대 옥상)
○ 작품요약 : ‘옥상별서, 화계산수’는 조선시대 미공개 유물 <도형> 속 이상적 별서정원을 디지털로 재현한 작품이다. 전통 간가도 도면에 기록된 식재·건축 구성 요소를 바탕으로, 4단 화계와 다양한 전통 식물을 옥상 위에 구현하였다. 전통조경의 원리를 현대 도시의 옥상 공간에 접목한 실험적 설계이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옥상별서, 화계산수.pdf
42368.1KB

은상(2)

별서 지침서 -현대판-

○ 소 속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출품자 : 박준영, 한선우, 김한새, 한애신, 김지윤
○ 대상지 : 가상공간(아파트 옥상정원)
○ 작품요약 : 전통 별서정원의 철학을 바탕으로, 아파트 옥상이라는 현대적 공간에 적용 가능한 지침형 설계안을 제안한 작품이다. 자연 향유와 내면 집중이라는 전통의 의미를 보편적인 공간 구성 원칙과 식재 전략으로 풀어내어, 누구나 자신만의 별서정원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별서 지침서_현대판.pdf
19802.7KB

와유(臥遊), 서울의 별서를 찾다 

○ 소 속 :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출품자 : 유차니, 김정원, 이지윤
○ 대상지 : 청계천
○ 작품요약 : 조선 문인들의 와유 정신과 소쇄원 48영의 차경 개념을 바탕으로, 서울 청계천을 VR 공간에서 사계절 전통정원으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시각·청각·공감각적 차경 요소를 디지털 장치로 구현하여, 도심 속에서도 전통 풍류를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와유(臥遊), 서울의 별서를 찾다.pdf
19608.4KB

동상(2)

Ghost town

○ 소 속 : 청주대학교 조경학과
○ 출품자 : 김현기
○ 대상지 : 소쇄원
○ 작품요약 : “영혼을 위한 고경 설계”라는 주제 아래, 양산보와 선비들이 꿈꿨던 이상향을 ‘고스트 타운’으로 재해석하였다. 이 공간은 죽음 이후에도 이상을 실현할 기회를 가진 ‘고스트’들이 머무는 장소로, 전통조경과 현대적 감성을 결합해 초월적 공간을 구현한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Ghost town.pdf
81472.8KB

무시무종無始無終;시작도 없고 끝도 없이 무한한 상태 

○ 소 속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출품자 : 신나경, 김진현, 김소영
○ 대상지 : 서래섬
○ 작품요약 : 조선 선비들의 자연 존중 정신과 별서정원의 ‘거리두기’ 개념을 바탕으로, 서울 서래섬을 생태 회복형 전통정원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제방을 허물고 수위 변화에 따라 섬의 형태가 스스로 바뀌도록 설계하였으며, 차경·정자·습지 등 전통 조경의 공간 요소를 현대적으로 구현하여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새로운 별서를 제안한다.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무시무종.pdf
84084.6KB

장려상(8)

달리; 達理, 이치에 이르다 

○ 소 속 : 중부대 정원문화산업학과
○ 출품자 : 김복영, 문영숙, 문민정, 오병웅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달리_ 達理, 이치에 이르다.pdf
7610.6KB

모두의 별서, 송현별서 

○ 소 속 : 씨드폴크
○ 출품자 : 김세희, 이양희, 양경미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모두의 별서, 송현별서.pdf
7511.2KB

너울너울 어른어른 춤을 추듯 하늘거려서 

○ 소 속 :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출품자 : 윤여령, 박송, 이시은, 우현
○ 대상지 : 송현광장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너울너울 어른어른 춤을 추듯 하늘거려서.pdf
24333.7KB

모두의 무릉도원

○ 소 속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조경계획설계연구실
○ 출품자 : 김민기, 민경준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모두의 무릉도원.pdf
6327.1KB

선(仙)을 나르다

○ 소 속 :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출품자 : 전우인, 박가은, 이주종
○ 대상지 : 소쇄원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선(仙)을 나르다.pdf
20641.7KB

밤서정원

○ 소 속 : 제주대학교 건축학과
○ 출품자 : 김성현, 용유지
○ 대상지 : 밤섬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밤서정원.pdf
4648.9KB

[온]다미원 

○ 소 속 : 비오토프 갤러리 설계팀
○ 출품자 : 석주원, 변철우, 박웅택, 박병호, 김재현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온]다미원.pdf
25142.7KB

소요하며 섬돌 위를 구애 없이 걷네 

○ 소 속 :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출품자 : 김동훈, 신이지, 안탁준
○ 대상지 : 소쇄원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소요하며 섬돌 위를 구애 없이 걷네.pdf
23311.3KB

입선(10)

Moonlight

○ 소 속 : 김종하
○ 출품자 : 김종하
○ 대상지 : 삼청동 복정우물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Moonlight.pdf
3078.6KB

시간의 정원 

○ 소속 : 동아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출품자 : 김주원, 김민혁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시간의 정원.pdf
451.2KB

사가정역 광장-도심 속의 별서정원 

○ 소 속 : EM디자인
○ 출품자 : 이두열, 홍익수
○ 대상지 : 사가정역 광장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사가정역 광장 - 도심 속의 별서정원.pdf
6014.8KB

역, 재생 : Reverse play 

○ 소 속 : 국립순천대학교 조경학과
○ 출품자 : 조서현, 김민
○ 대상지 : 남원역 폐역부지(남원읍성 터)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역, 재생 Reverse play.pdf
20835.0KB

단지동천(團地洞天) 

○ 소 속 : 전통문화대학교 유산기술학과
○ 출품자 : 김채원, 최진서, 백준우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단지동천(團地洞天).pdf
2971.6KB

도심을잊다: 소나무구릉지 속 별서 

○ 소 속 : 명지대학교 전통건축학과
○ 출품자 : 임동혁, 김민용, 최진혁, 백현보, 백종훈
○ 대상지 : 송현녹지광장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도심을 잊다_소나무 구릉지 속 별서.pdf
19331.6KB

어떤 이의 이상향, 모두의 별서 

○ 소 속 : 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출품자 : 김벼리, 김보현, 김채린, 전가현, 형립여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어떤 이의 이상향, 모두의 별서.pdf
1690.9KB

옥호정, 도시에 스며들다 

○ 소 속 :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조경학과
○ 출품자 : 박소영, ZHANG GUIRONG, ZHAI YURUI, 박형근
○ 대상지 : 삼청동천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옥호정, 도시에 스며들다.pdf
209602.3KB

류토피아 

○ 소 속 : 오명근
○ 출품자 : 오명근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류토피아.pdf
34953.9KB

After Hours 별서정원 

○ 소 속 : H2 Society
○ 출품자 : 홍승표, 황사운
○ 대상지 : 가상공간
※ 작품설명서 다운로드
After Hours 별서정원.pdf
7303.2K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