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전통조경대전
home
기획의도
home

수상작 아카이브

제1회 대한민국 전통조경대전 - <근현대 사진·영상 부문> 수상작

대상 - ‘창덕궁 관람지의 호안 석축과 목교’

응모자 : 김민선
○ 촬영연도 : 19세기 후반 ~ 20세기 초반 추정
○ 응모작 소개 : 이 작품은 조선 후기에 설치되었던 목교의 형태와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단순한 구조의 목교에서 근대에 가까운 시기의 복원된 정교한 구조로 이행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관람지 호안이 사교석과 같은 작은 석재로 조성된 점이 특징이며, 궁궐 내 지당 외에도 다양한 석재가 호안 조성에 활용되었음을 보여주는 귀중한 근거이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우수상(2)

일제강점기 사진엽서

응모자 : 조혁준
○ 촬영연도 : 일제강점기 추정, 알 수 없음.
○ 응모작 소개 : 1920년대 전후로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제강점기 사진엽서 자료로, 경주·부여·논산 등의 전통조경 경관과 수목, 옛길 등이 담겨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일제강점기 사진엽서 DB에 등록되지 않은 미공개 엽서를 중심으로 출품하였다. 특히 논산 관촉사의 엽서 중 멸실된 제석당의 모습은 토착신앙 건축물의 위상을 보여주는 귀한 사료로, 고려시대 다양한 종파의 건축·조경 특성이 반영된 공간 구성의 단서를 제공한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덕수궁 석조전 전경

응모자 : 이준석
○ 촬영연도 : 1920년 전후 추정
○ 응모작 소개 : 덕수궁 석조전 전경을 담은 우편엽서 2점으로, 전정 작업 중인 경사면과 돌거북이 확인된다. 돌거북은 이후 철거되고 1930년대에 물개 분수가 설치되었다. 2번 엽서에는 경성방송국 송신탑도 등장해 시대적 배경을 보여준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장려상(5)

창덕궁 관람지 석축

응모자 : 조인준
○ 촬영연도 : 1950년대
○ 응모작 소개 : 1950년대 창덕궁 관람지 일대의 전경을 담은 사진으로, 정자에 앉아 연못을 바라보는 인물과 함께 석축으로 정리된 연못 가장자리의 조경 구성이 잘 드러난다. 단순한 형태에서 점차 정교하게 구성된 목교와 석재의 사용 방식은 당시 궁궐 조경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사료다.

고요한 연못 속에 담긴 성찰

응모자 : 백인우
○ 촬영연도 : 1988년 4월
○ 응모작 소개 : 1988년 봄, 직지사 비로전 앞 연못을 감상하며 사색에 잠긴 부친의 모습을 담은 사진이다. 천불상 앞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던 길, 고요한 연못과 사찰 경관이 어우러진 풍경 속에서 전통 조경과 인간 내면의 평온함이 함께 담겨 있다.

조선박람회 조감도

응모자 : 허믿음
○ 촬영연도 : 1929년
○ 응모작 소개 : 1929년 경복궁 일대에서 열린 조선박람회의 전체 구조를 묘사한 조감도로, 행사장 내 건축 배치와 공간 구성, 조경 요소 등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당시 박람회장의 도시적 활용과 경복궁 영역 변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각 사료이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경복궁에서 개최된 조선물산종진회 풍경

응모자 : 성선용
○ 촬영연도 : 1915년 추정
○ 응모작 소개 : 1915년 경복궁에서 열린 조선물산종진회의 전경을 담은 엽서 2점으로, 광화문 안쪽에 설치된 철도국 특설관과 오벨리스크 형태의 탑, 제2호관 전시관 앞 회화나무 그늘에 모여 있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겨 있다. 당시 경복궁 내부의 공간 활용과 식생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기록이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세검정 전경

응모자 : 김채원
○ 촬영연도 : 촬영시기 미상
○ 응모작 소개 : 세검정 일대의 전경을 담은 엽서로, 겸재 정선의 그림처럼 정자 뒤 ‘ㄷ’자 담장이 확인된다. 세검정의 원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사료로, 일제강점기 경관을 유추할 수 있는 자료이다.

입선(7)

아름다운 창경원에서, 덕수궁에서

응모자 : 김미지
○ 촬영연도 : 1958년 경 여름
○ 응모작 소개 : 1950년대 창경원(현 창경궁)과 덕수궁에서 가족과 함께한 사진 2점으로, 창경원 연못의 분수와 주변 조경, 덕수궁의 당시 전경이 담겨 있다. 24세 무렵의 어머니와 가족의 모습을 통해 근대 궁궐의 일상적 활용 풍경을 엿볼 수 있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포석정

응모자 : 이지연
○ 촬영연도 : 1980년대
○ 응모작 소개 : 1980년대에 촬영된 포석정의 전경을 담은 사진으로, 당시의 유적지 조경과 주변 경관을 보여주는 기록이다.

용인 자연농원

응모자 : 변정동
○ 촬영연도 : 1983년
○ 응모작 소개 : 1983년 용인 자연농원의 분수 전경을 담은 사진으로, 당시의 정원 조경과 공간 분위기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송광사 수학여행

응모자 : 조영수
○ 촬영연도 : 1985년
○ 응모작 소개 : 1985년 고등학교 수학여행 중 촬영된 송광사의 전경 사진으로, 전통사찰의 조경과 당시 학생들의 단체 여행 문화를 함께 보여준다. 사찰의 건축과 숲이 어우러진 배경 속에 머무는 사람들의 모습이 시대적 정서를 담고 있다.

지리산 실상사

응모자 : 강선미
○ 촬영연도 : 1983년 6월
○ 응모작 소개 : 1983년 전북 남원 지리산 실상사에서 촬영된 사진으로, 고찰의 경관과 당시 사찰 주변의 조경 모습을 담고 있다.

1987년도의 경복궁

응모자 : 박유영
○ 촬영연도 : 1987년
○ 응모작 소개 : 1987년 겨울, 필름 카메라로 촬영한 경복궁의 전경을 담은 사진 3점이다. 고궁의 계절감과 당시 조경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는 기록이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

수학여행 등

응모자 : 현해리
○ 촬영연도 : 1980년~1986년
○ 응모작 소개 : 1980년대 제주도민 어머니의 여행 기록으로, 한라산, 경주, 대구, 서울, 청주 등 전국을 배경으로 한 수학여행, 가족·친지와의 나들이, 동아리 활동 등의 장면을 담았다. 일상 속 풍경과 전통 경관이 어우러진 총 27점의 사진이 출품되었다.
(→ 사진 옆으로 넘기기)